본문 바로가기

IT tech/OpenStack

오픈스택 내 VM 생성 사전작업 명령어 루틴 정리

반응형
SMALL

openstack 에서 VM 생성에 앞서, 사전에 시행되어야 할 명령어를 순서에 맞춰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았다.

 

 

1. 프로젝트 / 유저 생성

openstack project create --description "프로젝트 설명" '프로젝트명’   
openstack progect list 로 프로젝트 현황 확인   
openstack user create --password-prompt '프로젝트명' 

 

2. 네트워크 생성

openstack network create '네트워크명'   
openstack network list 로 네트워크 현황 확인

 

3. 서브넷 생성

openstack subnet create --network '네트워크명' --subnet-range '서브넷 IP 범위’ ‘서브넷명’   
openstack subnet list 로 서브넷 현황 확인   
 ㄴ서브넷 생성 시 source 해당유저계정 으로 로그인 후 진행.

 

4. 라우터 생성

openstack router create '라우터명’   
openstack network list --external 로 외부 네트워크의 ID 확인(=provider)  
openstack router set --external-gateway            
 ㄴ'외부네트워크의\_UUID' '라우터명' 으로 라우터와 외부네트워크 연결   
openstack router add subnet '라우터명' '내부\_네트워크의\_서브넷명'

 

5. 포트 생성

openstack port create --network 네트워크UUID --fixed-ip subnet=서브넷UUID,ip-address=‘지정할 ip주소’  포트명   
openstack server add port 서버UUID 포트UUID 로 서버에 포트 적용   
openstack server remove port 서버UUID 포트UUID 로 서버에 포트 제거

 

6. 공인 IP 생성

openstack floating ip create provider   
openstack server add floating ip 'vm의\_UUID' '공인IP의\_UUID’ 로 서버에 공인 ip 적용

 

7. 시큐리티 그룹 생성

openstack security group create --description "시큐리티 그룹설명“   
openstack server add security group 'vm의\_UUID' '시큐리티그룹의\_UUID’   
openstack security group rule create --protocol tcp --dst-port 1:65535 --remote-ip 0.0.0.0/0 '시큐리티그룹\_UUID’      
 ㄴ특정 규칙 생성할 경우. 해당 명령은 모든 ip 허용 + 모든 포트 허용하는 규칙을 생성.

 

8. 스토리지 생성  (*해당 과정은 생략해도 VM 생성 가능! )

openstack volume create --size '사이즈숫자' --description "스토리지 설명" '스토리지 이름’   
openstack server add volume 'vm의\_UUID' '스토리지의\_UUID’ 로 서버에 스토리지 적용

 

 

반응형
LIST

'IT tech > OpenStac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Openstack 네트워크 제거 방법  (0) 2023.04.2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