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반응형
SMALL

IT tech

(36)
리눅스에서 라우트 경로 바꾸는 방법 (+Default GW 바꾸는 법) 환경 : Rocky 9.4 리눅스에서 라우트 경로를 바꾸는 방법은 총 4가지가 있다. 1. route add ~ 명령어 실행해당 방법은 '일시적'으로 라우트 경로를 바꾸는 것으로, 추후 서버를 재부팅하는 등의 이슈가 있을 경우 라우트경로가 날아간다는 단점이 있다.당장 다른 설정은 건들지않고 일시적으로 라우트경로를 추가해야 할 경우 명령어를 이용하면 된다. route add 명령은 옵션이 많지만, 심플한 예시를 적어보겠다.  ex) 외부로 나가는 통신에 대해 gw가 192.168.50.1 인 라우트경로를 추가할 경우#route add -net 0.0.0.0/0 gw 192.168.50.1 이렇게 입력 후 라우트 경로를 확인하면 해당 라우트 경로가 제일 위에 올라가게 된다.#route -nKernel IP ..
kubernetes - Calico 설치 (CNI 툴) OS 환경 : Ubuntu 22.04 LTS 쿠버네티스 환경 사용 시 활용되는 CNI 툴로 Calico, Flannel 등 다양한 툴이 있지만 역시 제일 다양한 범위의 기능을 지원하는 Calico가 제일 인기있다고 하여, 해당 툴로 설치를 해보고자 한다. calico 설치kubectl apply -f https://docs.projectcalico.org/manifests/calico.yamlkubectl get pod -n kube-system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calico-kube-controllers-5b9b456c66-xltpd 1/1 Running 0 ..
오픈스택 내 VM 생성 사전작업 명령어 루틴 정리 openstack 에서 VM 생성에 앞서, 사전에 시행되어야 할 명령어를 순서에 맞춰 다음과 같이 정리해보았다.  1. 프로젝트 / 유저 생성openstack project create --description "프로젝트 설명" '프로젝트명’ openstack progect list 로 프로젝트 현황 확인 openstack user create --password-prompt '프로젝트명'  2. 네트워크 생성openstack network create '네트워크명' openstack network list 로 네트워크 현황 확인 3. 서브넷 생성openstack subnet create --network '네트워크명' --subnet-range '서브넷 IP 범위’ ‘서브넷명’ opens..
스크립트를 이용한 파일 백업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백업을 실시할 수 있다. 간단하지만 몇가지 백업 스크립트 예시를 아래에 기재해보겠다. *참고로 모든 스크립트 파일의 권한은 755로 지정했다. ex) 1. 서버 내 /home 경로에 있는 계정들에 대한 디렉토리를 압축 백업 하여 저장하고자 한다. crontab에 등록할 스크립트 파일에 다음과 같이 저장 #!/bin/sh home_root="home 경로" backup_home_root="백업파일이 쌓일 경로" sysdtime=$(date +%Y%m%d) # 파일 삭제 find "$backup_home_root" -mtime +7 -exec rm -rf {} \; cd "$home_root" echo "백업을 시작합니다." for home_name in $(ls) do if [ -d "..
리눅스 민트 시작메뉴 사라짐 현상 해결 환경 : 리눅스 민트 OS가 리눅스 민트인데, 리부팅 후 시작메뉴가 전부 안보이는 현상이 발생했다. 이런 경우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실행하면 된다. gsettings reset-recursively org.cinammon gsettings reset-recursively org.mate.panel 위 명령어 실행 시, 본인이 평소 사용하던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실행하면 된다.
timeout in locking authority file /home/.Xauthority 에러 해결 OS 환경: 리눅스 민트 회사에서 리눅스 민트 OS를 쓰고있는데, cli환경에서 startx 명령을 통해 gui환경으로 전환하려고 하니 아래 에러화면이 뜨면서 터미널이 먹통이 되는 현상이 발생했다.... 이게 대체 무슨 에러야...?? gui 가 아예 실행이 안된다. ㅠㅠ 처음에 다른 작업을 하며 삽질하다가 다시 startx 해도 에러나는건 마찬가지.. 당장 업무 봐야되는데 갑자기 저런 에러가 뜨면서 아무 작업을 할 수 없으니 당황 + 황당 그자체였다.. 다시 startx 명령을 실행해보자 아래와 같이 나왔다. 보아하니 /home/user명/.Xauthority 파일에 권한 관련해서 문제가 발생한 듯 하다. 이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은 다음과 같다. 1) 우선 .Xauthority 에 관련된 파일을 전부 ..
파일 시스템이 ro로 설정되어 있는 에러 (rw로 변경) 환경 : Ubuntu 22.04​ OS를 업데이트 하려던 중, 이런 에러가 발생했다.에러 내용을 보자니 repo쪽 파일의 권한이 잘못 되었나 싶어,/etc/apt/source.list 를 보려고 했다.​그런데 해당 파일을 수정하려 하자, 이런 에러가 뜬다.참고로 이 에러가 뜨는 상태에서는 수정/삭제/권한 설정 전부! 불가능하다.​그런데 권한을 살펴보니, 644로 부여되어 있어 엄연히 말하자면 read only인 상태도 아니다.그리고 이 파일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파일들도 전부 같은 에러가 뜬다.​대체 뭘까?..​원인은 바로 이것이었다. cat /proc/mounts | grep /dev 명령어로 확인하니, /dev/sda1에 마운트 된 파일 시스템이 “ro” 로 되어있었다. 어쩐지...​이런 경우, ..
Another app is currently holding the yum lock; waiting for it to exit... 에러 환경: Centos 7 yum 명령 실행 중 잠깐 다른 작업을 하다가 돌아왔더니 원격접속이 끊겨있어 다시 접속했다가 이런 에러가 발생했다. # yum install mariadb Loaded plugins: fastestmirror Existing lock /var/run/yum.pid: another copy is running as pid 5195. Another app is currently holding the yum lock; waiting for it to exit... The other application is: yum Memory : 95 M RSS (495 MB VSZ) Started: Tue May 16 10:39:56 2023 - 1:08:38 ago State : Sleeping,..
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