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IT tech/Linux

리눅스에서 라우트 경로 바꾸는 방법 (+Default GW 바꾸는 법)

반응형
SMALL

환경 : Rocky 9.4

 

리눅스에서 라우트 경로를 바꾸는 방법은 총 4가지가 있다.

 

1. route add ~ 명령어 실행

해당 방법은 '일시적'으로 라우트 경로를 바꾸는 것으로, 추후 서버를 재부팅하는 등의 이슈가 있을 경우 라우트경로가 날아간다는 단점이 있다.

당장 다른 설정은 건들지않고 일시적으로 라우트경로를 추가해야 할 경우 명령어를 이용하면 된다.

 

route add 명령은 옵션이 많지만, 심플한 예시를 적어보겠다.

 

 ex) 외부로 나가는 통신에 대해 gw가 192.168.50.1 인 라우트경로를 추가할 경우

#route add -net 0.0.0.0/0 gw 192.168.50.1

 

이렇게 입력 후 라우트 경로를 확인하면 해당 라우트 경로가 제일 위에 올라가게 된다.

#route -n
Kernel IP routing table
Destination        Gateway          Genmask             Flags    Metric   Ref    Use   Iface
0.0.0.0               192.168.50.1    0.0.0.0                 UG       0           0        0       eth0

 

 

2.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 에 route-eth 파일 추가

1번처럼 일시적으로 라우트 경로를 추가하는게 아니라, 서버가 재부팅되어도 라우트경로가 고정된다.

 

우선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 경로로 들어간다.

여기서, gw를 지정할 eth를 선택한다음 해당 eth에 대한 라우트 파일을 추가로 만들어준다.

예시에서는 eth0 에 게이트웨이 경로를 추가해보겠다.

#cd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
# touch route-eth0
# vim route-eth0
GATEWAY0=192.168.50.1
NETMASK0=255.255.255.0
ADDRESS0=정적경로를 추가할 본인의 네트워크 아이피

 

위와 같이 입력 후 네트워크를 재시작 해야한다.

#systemtl restart NetworkManager

이렇게 할 경우, 라우트 경로 확인 시 내가 지정한 게이트웨이가 고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
 

3.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 파일 수정

 

해당 방법은 network-scripts 파일 내에 있는 ifcfg-eth.... 파일을 수정하는 방법이다

나는 eth0 파일을 수정했으며, 설정은 아래와 같다.

# vim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0
DEVICE=eth0
BOOTPROTO=dhcp
ONBOOT=yes
IPADDR=eth0의 아이피주소
NETMASK=255.255.255.0
GATEWAY=192.168.50.1

이렇게 하고 네트워크를 재시작하면,

eth0 인터페이스의 Default Gateway 가 내가 지정한 192.168.50.1 로 바뀌게 된다.

 

 

4. rc.local 추가

rc.local 파일에 라우트경로를 지정하는 스크립트를 추가하면,

시스템 재부팅 시 rc.local 내에 있는 스크립트가 자동실행되면서 라우트경로가 잡히게 된다.

route add -net 0.0.0.0/0 gw 192.168.50.1

1번 예시에서 썼던 라우트 경로 추가 스크립트를 해당 파일에 넣어주면 된다.

이 경우, 서버내에서 rc.local이 활성화된 상태여야 한다.

 

rc.local 이 비활성화 상태라면, 아래와 같이 명령을 실행한다.

systemctl enable rc-local
systemctl start rc-local

 

이렇게하면, 라우트경로를 손쉽게 바꿀 수 있다.

 

반응형
LIS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