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반응형
SMALL

IT tech/Linux

(14)
DNS 구축하기 환경 : CentOS 7 ​ ​ # yum -y install bind* yum으로 bind 패키지를 설치합니다. 다음은 DNS관련 환경 설정에 대한 내용입니다. /etc/named.conf options { listen-on port 53 { any; }; listen-on-v6 port 53 { ::1; }; directory "/var/named"; dump-file "/var/named/data/cache_dump.db"; statistics-file "/var/named/data/named_stats.txt"; memstatistics-file "/var/named/data/named_mem_stats.txt"; recursing-file "/var/named/data/named.recursin..
리눅스 기본 명령어(2) 이번 글은 자주 쓰이는 vim 명령어를 정리한 글입니다. ​ ​ - 저장 및 종료 ​ w - 파일을 저장 q - vi를 종료 q! - vi를 강제종료 wq - vi를 저장하고 종료 wq! - vi를 저장하고 강제종료 e - 현재 파일을 불러오기 e# - 바로 이전에 열었던 파일을 불러오기 ​ ​ ​ - 입력모드 전환 ​ a - 커서 위치의 다음칸부터 입력 A - 커서 행의 맨 마지막부터 입력 i - 커서의 현위치에 입력 I - 커서 행의 맨 앞부터 입력 o - 커서의 다음 행에 입력 O - 커서의 이전 행에 입력 s - 커서 위치의 한글자를 지우고 입력 cc - 커서 위치의 한 행을 지우고 입력 ​ ​ ​ - 이동 ​ w - 다음 단어의 첫글자로 이동 b - 이전 단어의 첫 글자..
리눅스 기본 명령어(1) 이번 글은 OS의 종류 및 리눅스의 기초 명령어들을 정리한 글입니다. ​ 우선 OS의 종류부터 살펴보겠습니다. ​ redhat - centos, rocky, fedora 등 debian - ubuntu, linux mint, TmaxOS 등 (TmaxOS는 주로 국가사업에 많이 쓰입니다.) yum은 fedora, centos 등 많은 rpm 기반 리눅스에서 쓰이는 패키지 설치/제거 도구입니다. apt는 ubuntu 등 deb 기반 리눅스에서 쓰입니다. ​ ​ 리눅스 기본 명령어 - 파일 생성 vim (대부분의 사용자가 vi로 쓰기 때문에, 편의상 vi로 쓰겠습니다.) $ vi test1 touch $ touch test2 cat $ cat > test3 touch는 파일의 내용을 입력..
디렉토리 내의 tar.gz 파일 한꺼번에 압축해제하는 방법 특정 디렉토리에서 tar.gz 형식의 파일들을 전부 압축해제하기 위해서 tar -xvzf ./*.tar.gz 이렇게 명령어를 입력했는데 에러가 발생했다.. ​ ​ 일일이 tar파일을 압축해제하기 번거로울때는 아래와 같이 입력해주면 된다. find . -name "*.tar.gz" -exec tar xvzf {} \; ​ ​
history 삭제 ​ 지정한 history 삭제 history -d 행번호 history 전체 삭제 history -c 또는 /root/.bash_history 파일에 들어가서 내용을 전부 삭제
mysql 패키지 완전 삭제 mysql 패키지 설치 확인 yum list installed | grep mysql 위의 명령어를 통해 mysql 관련 패키지들의 설치 현황을 확인한다. mysql 패키지 설치 확인 yum remove -y mysql-community-* mysql 관련 패키지들을 제거한다. RPM 설치 확인 및 제거 rpm -qa mysql rpm -e mysql80-community-release 위의 명령어로 남아있는 패키지를 확인한 뒤 제거해준다. RPM 파일 확인 및 제거 find / -name 'mysql*rpm' rm -rf /root/mysql80-community-release-el7-3.noarch.rpm 남아있는 rpm 파일 목록을 확인 후 제거한다. mysql 데이터 제거 rm -rf /var/l..

반응형
LIST